1.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동향을 보면
① 프로그램 개발의 주요 요소 파악,
② 프로그램 개발 제 요소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분석,
③ 프로그램 개발 과정의 단계와 요소의 분석,
④ 평생교육기관에서 평생교육 프로그램이 어떻게 개발되고 수행되었는가에 대한 분석,
⑤ 프로그램 개발자의 계획 절차에 대한 태도분석,
⑥ 프로그램 개발에 관련된프로그램 개발자의 사회적 활동에 대한 분석 등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이는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관련하여 이론적 · 실증적 · 현장지향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2.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은 철저하게 현장과 지역의 특성과 요구를
반영 하는 현장지향형, 지역특화형, 맥락지향형 접근을 취해야 한다. 차
별화되고 특성화된 각 지역과 기관 및 현장의 평생교육 관련 요구가
충실히 반영된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지자체와 각 평생학
습도시의 특성과 맥락, 다양한 스펙트럼의 평생교육기관 및 단체의 맥
락과 요구가 충분히 반영될 수 있도록 특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3. 학습전이는 교육에 참여한 학습자가 배운 지식, 기술, 태도 등을 실제
현장에 적용하는 것을 뜻한다. 전략적으로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하면 학습한 것을 성공적으로 삶에 전이하여 자연스럽게 실생활에 적
용함으로써 학습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것을 평생학습 전이
전략이라고 한다. 학습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서는 크게
학습자의 개인적 특성요인, 교육과정 특성요인, 상황적 특성요인으로 나
눌 수 있다.
4. 발전적 학습전이는 교육을 통해 삶의 현장이 개선되는 것뿐만 아니라
교육 현장 또는 학습 공동체도 삶의 모습을 닮아 가도록 변화하는 것
을 의미한다. 평생교육 프로그램은 교육과 삶의 장을 연결하고 상호작
용하는 접점에 놓여 있다. 전략적으로 프로그램 개발을 하게 되면 학
습한 것을 삶에 전이시켜 실질적인 삶의 질 향상을 꾀할 수 있다.